목록4대경서/중용(中庸) (4)
고전인문학에서 성현의 지혜 찾기
지나침과 모자름은 절대선상 위에서 끊임없이 움직입니다. 연속선상에서 지나치면 과하다 하고 모자름은 불급이라고 합니다. 선과악이라는 연속선상위에서 우리들은 끊임없는 선택을 하는 것처럼 최고선 또한 지나치지 않아야 하고 모자르지 않아야 한다는 공자의 이야기입니다. 중용(中庸) 중용(中庸) 4장 자왈도지불행야(子曰道之不行也) 중 발췌 1절 子曰 / 道之不行也 / 我知之矣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道가 행해지지 않는 이유를 내가 안다. 2절 知者 / 過之 / 愚者 / 不及也 지혜롭다는 자는 아는 것이 지나치고, 어리석은 자는 아는 것이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3절 道之不明也 / 我知之矣 道가 밝게 드러나지 않는 이유를 내가 안다. 4절 賢者 / 過之 / 不肖者 / 不及也 어질다는 자는 행동이 지나치고, 못난 자..
기원전 춘추전국시대에 중용의 도를 깨우치고 행하신 성현의 지혜가 더욱 빛나 보입니다. 현대 사회는 교육, 법률, 문명의 발달로 중용을 행하는 사람이 더 많을 것 같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으니깐 인과 선을 행하고 중용을 지키는 사람들의 사례가 뉴스토픽감이 되지 않는가 싶습니다. 중용(中庸) 3장 자왈중용기지의호(子曰中庸其至矣乎) 子曰 / 中庸 / 其至矣乎 / 民鮮能 / 久矣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中庸은 지극한 도리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제대로 행하는 사람이 드물어진 지 오래되었다.” 출처 : 『한국고전종합DB』, 한국고전번역원 * 한국고전번역원의 자료는 수익창출과는 무관합니다.
옛 성현들은 체면과 형식을 차렸다고들 합니다. 그것이 진심된 마음과 일치하지는 않았겠지만 소인들과 같이 꺼리낌없이 행하지는 않는 안전장치였던 것 같습니다. 현대에도 소인과 같이 행하고는 법 위반과 잛\못 된 처신으로 사회적 비난을 받기도 합니다. 덕을 가진 사람은 나를 먼저 살펴보고 상대방을 보고 객관적인 입장에서 중용의 도를 체행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 것 같습니다. 중용(中庸) 2장 중니왈군자중용(仲尼曰君子中庸) 중 발췌 1절 仲尼曰 / 君子 / 中庸 / 小人 / 反中庸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중용(中庸)의 도를 체행(體行)하고, 소인은 중용(中庸)의 도에 상반(相反)되게 행한다. 2절 君子之中庸也 / 君子而時中 / 小人之反中庸也 군자가 중용의 도를 체행하는 것은 군자의 덕이 있어 때에 맞게..
치우침이 없는 중도를 지키기는 너무나 어렵습니다. 핏줄을 나눈 가족이 있고 생사고락을 함께한 동료가 있으며 우정을 나눈 친구가 있습니다. 누구나 인간관계와 사회생활에 있어 우선순위는 명확한 데 그 의사결정이 치우치면 중도는 붕괴되고 외부의 소리가 두려워지고 무서워지는 것같습니다. 스스로를 채찍질하면서 옳바른 것에 귀기울이지 않는다면 중용(中庸)은 요원한 것 같습니다. 중용(中庸) 1장 천명지위성(天命之謂性) 1절 天命之謂性 / 率性之謂道 하늘이 모든 사물에 부여해 준 것을 性이라 하고, 性대로 하는 것을 道라 하고, 修道之謂敎 道를 中道에 맞게 하나하나 조절해 놓은 것을 敎라 한다. 2절 道也者 / 不可須臾離也 / 可離 / 非道也 道라는 것은 잠시도 떠날 수 없는 것이다. 떠날 수 있으면 道가 아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