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유교 (2)
고전인문학에서 성현의 지혜 찾기

고려말 조선초기 1397년 정도전의 심봉집 문집 간행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제1차 왕자의 난에 휩쓸려 처형되면거 모든 판본이 흩어졌다가 조선의 7대왕 세조 때 정도전의 증손 정문형에 의해 파편을 복구하고 서문을 붙여 간행이 이루어졌습니다. 정도전이 살았던 한 시대를 이해할 수 있고 조선의 건국과 그 의미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특히 불씨잡변은 유교의 입장에서 불교를 비판하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기도 합니다. 불교의 윤회설에 대한 입장을 표현한 불씨 윤회의 변[佛氏輪廻之辨]입니다. 삼봉집(三峯集) 불씨잡변(佛氏雜辨) / 불씨 윤회의 변[佛氏輪廻之辨] 사람과 만물이 생생(生生)하여 무궁한 것은 바로 천지의 조화(造化)가 운행(運行)하여 쉬지 않기 때문이다. 대저 태극(太極)이 동(動)하고 정(靜)함에 음(陰)..

조선 후기의 실학자 홍대용의 시, 사서문변, 사론, 서 등을 수록한 문집이 담한서입니다. 특히 사서문변에서는 유교의 경전인 대학, 논어, 맹자, 중용, 시경, 서경, 주역의 경문과 주석을 열거하고 질문하여 홍대용의 철학을 더하여 새롭게 해석하였습니다. 아래 내용은 대학문의(大學問疑) 전구장(傳九章)에 대한 해석을 적은 문집 내용입니다. 효(孝)와 제(弟)와 자(慈) 이 세가지에 대한 가치관과 철학이 잘 표현 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사서 문변(四書問辨) / 대학 문의(大學問疑) 전구장(傳九章) 발췌 본래 위에서 행(行)하면 아래서 본받아 기약함이 없이 절로 그렇게 되는 것을 말한 것인데, ‘여보적자(如保赤子)’에 이르러는 도리어 미루어 행하는 것의 큰 것으로 삼었으니 무슨 까닭인가? 나의 생각은 이 조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