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공자 (5)
고전인문학에서 성현의 지혜 찾기
지나침과 모자름은 절대선상 위에서 끊임없이 움직입니다. 연속선상에서 지나치면 과하다 하고 모자름은 불급이라고 합니다. 선과악이라는 연속선상위에서 우리들은 끊임없는 선택을 하는 것처럼 최고선 또한 지나치지 않아야 하고 모자르지 않아야 한다는 공자의 이야기입니다. 중용(中庸) 중용(中庸) 4장 자왈도지불행야(子曰道之不行也) 중 발췌 1절 子曰 / 道之不行也 / 我知之矣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道가 행해지지 않는 이유를 내가 안다. 2절 知者 / 過之 / 愚者 / 不及也 지혜롭다는 자는 아는 것이 지나치고, 어리석은 자는 아는 것이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3절 道之不明也 / 我知之矣 道가 밝게 드러나지 않는 이유를 내가 안다. 4절 賢者 / 過之 / 不肖者 / 不及也 어질다는 자는 행동이 지나치고, 못난 자..
대학 전문 3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주로 적혀 있습니다. 임금 일 때는 인, 신하일 때는 공경, 자식일 때는 효성, 부모일 때느 자애, 국가의 일에는 믿음 군신유의(君臣有義), 부자유친(父子有親), 부부유별(夫婦有別), 장유유서(長幼有序), 붕우유신(朋友有信) 현대사회는 親, 義, 別, 序, 信은 인의예지신(仁, 義, 禮, 智, 信)의 5가지 덕목을 모두 수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현대사회는 글로벌화 되고 다양화 되고 있기 때문에 하나만을 고집하면 오히려 손해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도 직장상사와의 관계, 부모와의 관계, 부부간의 관계, 자식과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에 있어 많은 혼란과 아노미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게 현실입니다. 서구화 된 평등과 동양의 유교적인 관계가 부딪히면서 다양..
기원전 춘추전국시대에 중용의 도를 깨우치고 행하신 성현의 지혜가 더욱 빛나 보입니다. 현대 사회는 교육, 법률, 문명의 발달로 중용을 행하는 사람이 더 많을 것 같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으니깐 인과 선을 행하고 중용을 지키는 사람들의 사례가 뉴스토픽감이 되지 않는가 싶습니다. 중용(中庸) 3장 자왈중용기지의호(子曰中庸其至矣乎) 子曰 / 中庸 / 其至矣乎 / 民鮮能 / 久矣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中庸은 지극한 도리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제대로 행하는 사람이 드물어진 지 오래되었다.” 출처 : 『한국고전종합DB』, 한국고전번역원 * 한국고전번역원의 자료는 수익창출과는 무관합니다.
춘추전국시대의 인간상이 어찌 현재의 인간상과 맞아 떨어지는지 의심스러울 정도로 옳은 말인 듯합니다. 1 .투자하면 이자를 높이 쳐 주겠다는 감언이설 2. 너에게만 특별히 알려주는 좋은 정보 3. 투자수익금을 2배로 주겠다는 허언장담 등 현실 속에서 대부분 사기꾼이자 어질게 사라온 사람들의 금전적인 피해를 가져옵니다. 살아가면서 많은 것을 소유하기는 너무나 어렵습니다. 작은 월급 봉투, 투자의 어려움, 인플레이션 등 소비 증가로 점점 자산은 줄어들겠지만 말이나 듣기 좋게 하고 가식적인 얼굴로 비위를 맞추는 사람만 피하면 그럭저럭 살만 할 것 같습니다. 논어(論語) 학이(學而) 3장 자왈교언영색(子曰巧言令色) 子曰 / 巧言令色 / 鮮矣仁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말이나 듣기 좋게 하고 가식적인 얼굴로 비위를 ..
공자 가라사대~~ 논어는 공자의 말씀이 많은 듯합니다. 배운다는 것은 즐거운 일이고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중시하는 철학과 가치관 넓은 아량과 이해심은 군자의 기본 덕목인 것 같습니다. 논어를 통해 심신수련을 해 보고 싶어집니다. 논어(論語) 학이(學而) 1장 자왈학이시습지(子曰學而時習之) 1절 子曰자왈學而時習之학이시습지면不亦說乎불역열호아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배우고 나서 수시로 익힌다면 이 역시 기쁜 일이 아니겠는가. 2절 有朋유붕이自遠方來자원방래면不亦樂乎불역낙호아 먼 곳에서 친구가 찾아와 준다면 이 역시 즐거운 일이 아니겠는가. 3절 人不知而不慍인불지이불온이면不亦君子乎불역군자호 남이 알아주지 않아도 서운해 하지 않는다면 이 역시 군자답지 않겠는가.” 출처 : 『한국고전종합DB』, 한국고전번역원 *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