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4대경서/대학(大學) (4)
고전인문학에서 성현의 지혜 찾기

대학 전문 3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주로 적혀 있습니다. 임금 일 때는 인, 신하일 때는 공경, 자식일 때는 효성, 부모일 때느 자애, 국가의 일에는 믿음 군신유의(君臣有義), 부자유친(父子有親), 부부유별(夫婦有別), 장유유서(長幼有序), 붕우유신(朋友有信) 현대사회는 親, 義, 別, 序, 信은 인의예지신(仁, 義, 禮, 智, 信)의 5가지 덕목을 모두 수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현대사회는 글로벌화 되고 다양화 되고 있기 때문에 하나만을 고집하면 오히려 손해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도 직장상사와의 관계, 부모와의 관계, 부부간의 관계, 자식과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에 있어 많은 혼란과 아노미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게 현실입니다. 서구화 된 평등과 동양의 유교적인 관계가 부딪히면서 다양..

잠을 자고 일어나면 새로운 날이 시작됩니다. 새롭게 시작하는 하루는 더욱 활기차고 역동적이어야 하지만 현실에서는 그렇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래 된 주나라에서도 문왕이 새로운 천명을 받았듯 우리들 일상에서도 하루하루 목표와 최고선을 바꿔보는 건 어떨까요? 나날이 바뀌는 새로운 목표는 활동에 즐거운을 가져다 줄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대학(大學) 전문(傳文) 2장 탕지반명왈구일신(湯之盤銘曰苟日新) 1절 湯之盤銘 / 曰 / 苟日新 / 日日新 湯 임금의 목욕통에 새겨진 글에, “진실로 어느날 하루 새롭게 변하였으면, 이를 계기로 나날이 새로워지고 又日新 또다시 날로 새로워지라.” 하였고. 2절 康誥 / 曰 / 作新民 ≪書經≫ 강고 편에, “새로워지고 있는 백성을 더욱 고무시키라.” 하였으며, 3절 詩曰..

옛 성현들은 덕을 하늘이 내린 밝은 명령이라고 생각한 것 같습니다. 어진 덕을 가지고 있으면 자연스럽게 이루는 만물의 이치를 대학에서는 가르치려는 듯 합니다. 대학(大學) 전문(傳文) 1장 강고왈극명덕(康誥曰克明德) 발췌 1절 康誥 / 曰 / 克明德 ≪書經≫ 강고 편에, “文王은 덕을 제대로 밝히셨다.” 하였고 2절 太甲 / 曰 / 顧諟天之明命 태갑 편에, “하늘이 내린 이 밝은 명령을 항상 주시해야 한다.” 하였으며 3절 帝典 / 曰 / 克明峻德 ≪書經≫ 堯典에, “堯임금은 큰 덕을 제대로 밝히셨다.” 하였는데 4절 皆自明也 모두 스스로 자신의 덕을 밝힌 것이다 右 / 傳之首章 우는 전지수장 출처 : 『한국고전종합DB』, 한국고전번역원 * 한국고전번역원의 자료는 수익창출과는 무관합니다.

자신의 근본을 아는 것을 대학에서는 중요시합니다. 목적이 없는 학문은 쓸모가 없었고 최고선의 경지에 이를 수도 없습니다. 자신의 마음을 가다듬고, 생각을 진실되고 하고, 가정을 잘 다스리면 국가를 잘 다스릴수 있다는 수신제가의 기본이 잘 표현된 경문입니다. 마음이 불편하고 목적이 명확하지 않은 사람들을 위한 글인 것 같습니다. 반복해서 읽으니 마음이 편안해지는 것을 느낄 수가 있습니다. 대학(大學) 1장 경문(經文) 1절 大學之道 / 在明明德在新民 / 在止於至善 大人의 학문 방도(목적)는 자신의 밝은 德을 밝게 하는 데에 있고, 백성을 교화하여 새롭게 하는 데에 있으며, 위의 두 가지가 항상 最高善의 경지에 머물러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2절 知止而后 / 有定/ 定而后/ 能靜 靜而后/ 能安/ 安而后/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