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약용 (2)
고전인문학에서 성현의 지혜 찾기

경세유표는 기존 정치 제도의 모순에 대한 실증적인 사례를 담았습니다. 6조, 의정부 3공 등 중요한 정치 제도에 대하여 논한 자료입니다. 기존의 사회 모순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 보다는 수 많은 비판과 무고를 받아가면서 토지제도와 농업문제 등에 대한 고민을 한 것을 보면 후대에서도 그 노력과 성취에 더욱 존경하며 칭송하게 된 이유가 아닐까 합니다. 경세유표 제1권 천관 이조(天官吏曹) 제1 중 발췌 우리나라가 창건되어 대통(大統)을 전해온 지 400여 년에 기강이 해이해져 모든 일이 부진하니, 마땅히 법령을 개정하고 관직(官職)을 정리하여 조종(祖宗)의 공덕을 빛나게 해야 한다. 이리하여 3공(公)ㆍ3고(孤)에게 명하여 6전(典)을 널리 선포해서 6관(官)을 가르치게 하고, 6관에게 명하여 그 직무를 다스..

다산 정약용(丁若鏞)이 집필한 48권 16책입니다. 목민심서 6조 중 1조는 부임(赴任)으로 임지에 간다는 뜻으로 수령이 먼저 알아야 할 내용으로 부임 육조는 제배(除拜) 관직에 임명 된 후에 알아야 할 것입니다. 강진에서 유배 생활 19년동안 경전 연구에 몰두하였고 학문적 이해와 경험을 바탕으로 현실적인 성찰을 적었습니다. 목민심서(牧民心書) 1조 제배 중 발췌 위를 섬기는 자를 민(民)이라 하고, 민을 다스리는 자를 사(士)라 한다. 사(士)란 벼슬살이하는〔仕〕 것이니, 벼슬살이하는 자는 모두 백성을 다스리는 자들이다. 그러나 경관(京官)은 혹 왕을 받들어 모시는 것을 직분으로 삼기도 하고, 혹 맡아서 지키는 것을 소임으로 삼기도 하니, 조심하고 근신(謹愼)하면 아마도 죄 되거나 뉘우칠 일은 없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