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고전 문집/삼봉집(三峯集) (1)
고전인문학에서 성현의 지혜 찾기
삼봉집(三峯集) 불씨잡변(佛氏雜辨)
고려말 조선초기 1397년 정도전의 심봉집 문집 간행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제1차 왕자의 난에 휩쓸려 처형되면거 모든 판본이 흩어졌다가 조선의 7대왕 세조 때 정도전의 증손 정문형에 의해 파편을 복구하고 서문을 붙여 간행이 이루어졌습니다. 정도전이 살았던 한 시대를 이해할 수 있고 조선의 건국과 그 의미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특히 불씨잡변은 유교의 입장에서 불교를 비판하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기도 합니다. 불교의 윤회설에 대한 입장을 표현한 불씨 윤회의 변[佛氏輪廻之辨]입니다. 삼봉집(三峯集) 불씨잡변(佛氏雜辨) / 불씨 윤회의 변[佛氏輪廻之辨] 사람과 만물이 생생(生生)하여 무궁한 것은 바로 천지의 조화(造化)가 운행(運行)하여 쉬지 않기 때문이다. 대저 태극(太極)이 동(動)하고 정(靜)함에 음(陰)..
고전 문집/삼봉집(三峯集)
2023. 9. 8. 1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