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인문학에서 성현의 지혜 찾기
맹자(孟子) 양혜왕상(梁惠王上) 3장 본문
오십보 백보의 고사가 맹자와 왕혜상의 대화에서 유래 된 것이었습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아는 것은 오십보 도망가는 병사와 백보 도망가는 병사의 내용이었는 데
원문에서는 국가 경영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
예나 지금이나 가난한 것은 매 일반인 거 같아 마음이 무겁기도 합니다.
여러가지 이유로 목숨이 다 한 사람들의 장례조차 치뤄지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는
현대사회의 사람들 또한 고민해야 하는 문제임 듯 합니다.
남 탓 하지 말고 가장 옳바른 최고선을 행하는 맹자의 가름침을 다시한 번 숙려합니다.
맹자(孟子) 양혜왕상(梁惠王上) 3장 양혜왕왈과인지어국야(梁惠王曰寡人之於國也) 중 발췌
1절
양혜왕이 말하였다. “과인은 나라를 다스리는 데 마음을 다하고 있습니다.
河內가 흉년이 들면 그곳 백성을 河東으로 이주시키고 그곳 곡식을 하내로 옮겨 구휼하였으며,
하동에 흉년이 들면 역시 그런 식으로 하였습니다. 그런데 이웃 나라의 정사를 살펴보면,
과인만큼 마음을 쓰는 자가 없는데, 이웃 나라의 백성들이 더 줄어들지 않고
과인의 백성들이 더 늘어나지 않는 것은 왜입니까?”
2절
맹자께서 대답하셨다. “왕께서 전투를 좋아하시니, 전투를 가지고 비유를 해 보겠습니다.
둥둥 북이 울려 칼날을 부딪치며 접전을 벌이다가, 한쪽이 패하여 갑옷을 버리고 무기를 끌고 달아나게 되었습니다.
어떤 병사는 100보를 도망간 뒤에 멈추고 어떤 병사는 50보를 도망간 뒤에 멈추었는데,
만약 50보를 달아났다 하여 100보를 달아난 자를 비웃는다면 어떻습니까?” 왕이 말하였다. “그럴 수야 없지요.
100보를 달아나지 않았을 뿐이지 이 역시 달아난 것입니다.”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왕께서 만일 이것을 아신다면 백성들이 이웃 나라보다 더 많아지길 바라지 마십시오.
3절
농사철을 놓치지 않으면 곡식을 이루 다 먹을 수 없게 되고,
촘촘한 그물을 웅덩이와 연못에 넣지 않으면 물고기를 이루 다 먹을 수 없게 되고,
도끼와 자귀를 때에 맞게 산과 숲에 들어가게 하면 재목을 이루 다 쓸 수 없게 될 것입니다.
곡식과 물고기를 이루 다 먹을 수 없고 재목을 이루 다 쓸 수 없게 되면,
이는 백성으로 하여금 살아 있는 이를 봉양하고 죽은 이를 장사지내는 데에 유감이 없게 하는 것이니,
살아 있는 이를 봉양하고 죽은 이를 장사지내는 데에 유감이 없게 하는 것이 바로 王道의 시작입니다.4절
4절
5묘의 집터에 뽕나무를 심으면 50세 이상 된 이들이 비단옷을 입을 수 있고,
닭이나 돼지, 개 같은 가축들을 기르면서 새끼 밸 때를 놓치지 않게 하면 70세 이상 된 이들이 고기를 먹을 수 있고,
100묘의 토지를 경작하는데 그 농사철을 빼앗지 않으면 한 집의 몇 식구가 굶주리지 않을 수 있고,
학교 교육을 신중히 행하여 효도와 공경의 도리를 거듭 가르치게 되면
반백의 노인들이 길에서 짐을 지거나 이지 않게 될 것입니다.
70세 이상 된 이들이 비단옷을 입고 고기를 먹으며, 젊은 백성들이 굶주리거나 추위에 떨지 않게 하고서도
천하에 왕노릇 못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5절
개나 돼지들이 사람이 먹을 양식을 먹는데도 단속할 줄 모르고, 길에 굶어 죽은 시체가 나뒹구는데도 창고를 열어 구제할 줄은 모른 채,
백성들이 굶어 죽으면 ‘내가 그런 것이 아니라 농사가 흉년이 들어서이다.’ 하는데,
이는 사람을 찔러 죽이고서 ‘내가 그런 것이 아니라 칼이 그런 것이다.’ 하는 것과 무엇이 다르단 말입니까.
왕께서 그 이유를 농사 탓으로 돌리지 않으신다면 천하의 백성들이 왕의 나라로 몰려 올 것입니다.”
출처 : 『한국고전종합DB』, 한국고전번역원
* 한국고전번역원의 자료는 수익창출과는 무관합니다.
'4대경서 > 맹자(孟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맹자(孟子) 양혜왕상(梁惠王上) 4장 (0) | 2023.09.22 |
---|---|
맹자(孟子) 양혜왕상(梁惠王上) (0) | 2023.09.19 |
맹자(孟子) 맹자견양혜왕(孟子見梁惠王) (0) | 2023.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