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인문학에서 성현의 지혜 찾기
맹자(孟子) 양혜왕상(梁惠王上) 4장 본문

예나 지금이나 먹고사는 문제와 가난은 큰 문제였나봅니다.
결국 아무리 정치를 잘하고 백성을 사랑한다 하더라도 근본적으로 백성의
굶주림을 해결하지 못한다면 임금으로서 역할을 못했다는 글귀인 것 같습니다.

맹자(孟子) 양혜왕상(梁惠王上) 4장 양혜왕왈과인원안승교(梁惠王曰寡人願安承敎) 중 발췌
1절
양혜왕이 말하였다. “과인은 차분히 가르침을 받들고자 합니다.”
2절
맹자께서 대답하셨다. “사람을 죽이는 데 몽둥이를 사용하는 것과 칼을 사용하는 것이 차이가 있습니까?”
왕이 말하였다. “차이가 없습니다.”
3절
“사람을 죽이는 데 칼을 써서 하거나 虐政으로 하는 것이 차이가 있습니까?” 왕이 말하였다. “차이가 없습니다.”
4절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왕의 주방에 살진 고기가 있고, 마구간에는 살진 말이 있는데, 백성들에게는 굶주리는 기색이 있고
들에 굶어 죽은 시체가 나뒹굴고 있다면, 이것은 짐승을 몰아다가 사람을 잡아 먹게 한 것입니다.
5절
짐승끼리 서로 잡아먹는 것도 사람들이 싫어하는데,
백성의 부모가 되어 정사를 행하면서 짐승을 몰아다가 사람을 잡아 먹게 한다면
백성의 부모가 되어 정사를 행하면서 짐승을 몰아다가 사람을 잡아 먹게 한다면
6절
仲尼(중니)께서는 ‘처음으로 木偶(목우)(葬禮用 人形)(장례용 인형)를 만든 자는 아마 후손이 끊겼을 것이다.’ 하셨는데,
이는 사람을 본떠서 만들어 그걸 장례에 사용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어떻게 백성들을 굶주려 죽게 한단 말입니까.”
출처 : 『한국고전종합DB』, 한국고전번역원
* 한국고전번역원의 자료는 수익창출과는 무관합니다.
'4대경서 > 맹자(孟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맹자(孟子) 양혜왕상(梁惠王上) 3장 (0) | 2023.09.20 |
---|---|
맹자(孟子) 양혜왕상(梁惠王上) (0) | 2023.09.19 |
맹자(孟子) 맹자견양혜왕(孟子見梁惠王) (0) | 2023.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