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인문학에서 성현의 지혜 찾기
중용(中庸) 2장 본문
옛 성현들은 체면과 형식을 차렸다고들 합니다.
그것이 진심된 마음과 일치하지는 않았겠지만
소인들과 같이 꺼리낌없이 행하지는 않는 안전장치였던 것 같습니다.
현대에도 소인과 같이 행하고는 법 위반과 잛\못 된 처신으로 사회적 비난을 받기도 합니다.
덕을 가진 사람은 나를 먼저 살펴보고 상대방을 보고
객관적인 입장에서 중용의 도를 체행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 것 같습니다.
중용(中庸) 2장 중니왈군자중용(仲尼曰君子中庸) 중 발췌
1절
仲尼曰 / 君子 / 中庸 / 小人 / 反中庸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중용(中庸)의 도를 체행(體行)하고, 소인은 중용(中庸)의 도에 상반(相反)되게 행한다.
2절
君子之中庸也 / 君子而時中 / 小人之反中庸也
군자가 중용의 도를 체행하는 것은 군자의 덕이 있어 때에 맞게 하기 때문이고, 소인이 중용의 도에 상반되게 행하는 것은
小人而無忌憚也
소인의 마음이 있어 거리낌이 없기 때문이다.”
출처 : 『한국고전종합DB』, 한국고전번역원
* 한국고전번역원의 자료는 수익창출과는 무관합니다.
'4대경서 > 중용(中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용(中庸) 4장 (0) | 2023.09.22 |
---|---|
중용(中庸) 3장 (0) | 2023.09.20 |
중용(中庸) 천명지위성(天命之謂性) (0) | 2023.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