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고전인문학에서 성현의 지혜 찾기

논어(論語) 학이(學而) 본문

4대경서/논어(論語)

논어(論語) 학이(學而)

고전 인문학 매니아 2023. 9. 18. 00:52

공자 가라사대~~

 

논어는 공자의 말씀이 많은 듯합니다.

 

배운다는 것은 즐거운 일이고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중시하는 철학과 가치관

 

넓은 아량과 이해심은 군자의 기본 덕목인 것 같습니다.

 

논어를 통해 심신수련을 해 보고 싶어집니다.

 

 

 

 

논어(論語) 학이(學而) 1장 자왈학이시습지(子曰學而時習之)

 

1절

子曰자왈學而時習之학이시습지不亦說乎불역열호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배우고 나서 수시로 익힌다면 이 역시 기쁜 일이 아니겠는가.

 

2절

有朋유붕自遠方來자원방래不亦樂乎불역낙호
 

먼 곳에서 친구가 찾아와 준다면 이 역시 즐거운 일이 아니겠는가.

 

3절

人不知而不慍인불지이불온이면不亦君子乎불역군자호

남이 알아주지 않아도 서운해 하지 않는다면 이 역시 군자답지 않겠는가.”

 

출처 : 한국고전종합DB, 한국고전번역원

* 한국고전번역원의 자료는 수익창출과는 무관합니다.

'4대경서 > 논어(論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論語) 학이(學而) 4장  (0) 2023.09.22
논어(論語) 학이(學而) 3장  (0) 2023.09.20
논어(論語) 학이(學而) 2장  (0) 2023.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