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인문학에서 성현의 지혜 찾기
논어(論語) 학이(學而) 3장 본문
춘추전국시대의 인간상이 어찌 현재의 인간상과 맞아 떨어지는지 의심스러울 정도로 옳은 말인 듯합니다.
1 .투자하면 이자를 높이 쳐 주겠다는 감언이설
2. 너에게만 특별히 알려주는 좋은 정보
3. 투자수익금을 2배로 주겠다는 허언장담 등
현실 속에서 대부분 사기꾼이자 어질게 사라온 사람들의 금전적인 피해를 가져옵니다.
살아가면서 많은 것을 소유하기는 너무나 어렵습니다.
작은 월급 봉투, 투자의 어려움, 인플레이션 등 소비 증가로 점점 자산은 줄어들겠지만
말이나 듣기 좋게 하고 가식적인 얼굴로 비위를 맞추는 사람만 피하면 그럭저럭 살만 할 것 같습니다.
논어(論語) 학이(學而) 3장 자왈교언영색(子曰巧言令色)
子曰 / 巧言令色 / 鮮矣仁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말이나 듣기 좋게 하고 가식적인 얼굴로 비위를 맞추는 사람치고 仁한 사람은 적다.”
출처 : 『한국고전종합DB』, 한국고전번역원
* 한국고전번역원의 자료는 수익창출과는 무관합니다.
'4대경서 > 논어(論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論語) 학이(學而) 4장 (0) | 2023.09.22 |
---|---|
논어(論語) 학이(學而) 2장 (0) | 2023.09.19 |
논어(論語) 학이(學而) (0) | 2023.09.18 |